중위소득 계산기, 연도별 가구원수별 비율별 조회, 중위소득 개념, 사용처 등 총정리!!

📊 중위소득 계산기 (2023~2025)

계산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

✅ 중위소득의 개념

중위소득이란?

한 나라의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, 정확히 가운데(50번째 백분위)의 가구 소득을 말합니다. 평균소득과 다릅니다.

평균은 일부 고소득자에 의해 왜곡될 수 있지만, 중위소득은 극단값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현실적 생활 수준을 더 잘 반영합니다.

📌 중위소득 예시 (2025년 기준)

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% (월 기준)
1인 가구 2,393,000원
4인 가구 6,098,000원

이 수치를 기준으로 70%, 120% 등 다양한 비율도 계산됩니다.

✅ 어디에 사용하는가?

중위소득은 정부 복지제도의 ‘자격 기준’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.

📋 대표적인 활용처

분야 예시
복지급여 기준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
지원 사업 대상자 선정 에너지바우처, 서울런, 청년 월세지원, 난임치료비 지원 등
저소득층/취약계층 판별 차상위계층 여부 판단
국공립 보육료·급식비 소득 100% 이하 가정 무상급식 등
청년/신혼부부 정책 청년임대주택, 신혼부부 특별공급 등

✅ 예를 들어볼게요:

  • 서울런 무료 수강 시범사업: 중위소득 100% 이하 다자녀 가구만 신청 가능
  •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: 중위소득 30% 이하 가구만 가능
  • 청년 월세 지원: 중위소득 150% 이하인 무주택 청년 대상

🧠 요약하면!

중위소득은 “이 가족이 저소득층인가?”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선입니다.

정부는 이 기준을 활용해 공정하게 복지 혜택을 배분하려 합니다.

✅ 복지정책 총정리표 (2025년 기준)

복지정책명 중위소득 기준 주요 혜택 비고
기초생활 생계급여 30% 이하 생계비 현금 지급 근로능력자 조건부 수급
의료급여 40% 이하 병원비 본인부담 경감 1종/2종 구분
주거급여 50% 이하 월세 보조, 전세대출 가구 수별 차등
교육급여 50% 이하 교복비, 학용품비 초·중·고 학생
차상위계층 50~60% 감면/일부 현금 지원 제도별 상이
에너지바우처 60% 이하 전기/가스요금 지원 계절별 분기
서울런(일반) 60% 이하 온라인 강의+멘토링 6~24세 청소년
서울런 다자녀 100% 이하 둘째 자녀부터 강의 무료 3자녀 이상
청년 월세지원 150% 이하 월 20만 원 지원 최대 12개월
아이돌봄서비스 150% 이하 돌봄비 일부 정부 지원 맞벌이 등 우선
긴급복지지원 75~100% 이하 일시적 생계/의료비 위기사유 필요
난임치료비 지원 180% 이하 시술비 일부 지원 소득+나이 기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