울산시 공공 심야약국 현황과 운영 방법, 운영 기준, 지정 방식 등 총정리(2025년 최신)

🎯 울산시 공공 심야약국 현황과 운영 방법, 운영 기준, 지정 방식 등 총정리

울산시에는 약사법 등에 근거하여 3개 구 4곳의 공공 심야약국이 상시 운영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 2025년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울산시 공공 심야약국의 신청·지정 절차, 운영 기준과 현황까지 정리했습니다.


🟡 핵심 요약

울산시는 2025년 공공 심야약국을 기존(소수)에서 4개소로 확대 운영(심야 22:00~01:00 혹은 새벽1시 기준)하여 심야 의약품 접근성을 강화했다. 확대는 광역·기초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으며, 약사법 개정으로 국비 지원 근거가 마련되어 운영 안정성이 개선되었다. 

출처 - 대한약사회

🔵 지정 기준·운영시간

• 지정 기준: 주민 접근성 우선(중심지·교통 편의), 근무 인력 확보, 처방·복약상담 가능성 등. 공공심야약국 관련 법적·지침성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.

• 표준 운영: 일반적으로 매일 22:00~01:00(또는 24:00→01:00)로 지정. 울산시 확대 약국은 새벽 1시까지 운영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다.

🟢 지정 방식·신청 절차

1) 지자체 공모 → 2) 서류·현장평가(접근성·인력) → 3) 선정·협약 체결 → 4) 운영비·지원(국비·지방비) 지급(약사법 개정으로 국비 지원 가능). 공모·선정 공지는 시청·보건소 홈페이지에 게시.

신청 시점: 지자체 공고일 기준으로 접수. 평가항목(근무표, 안전관리, 의약품 보관체계 등) 준비 필수.


🟡 이용 방법(간단)

  • 심야 필요시 공공 심야약국 목록 확인 → 방문 또는 전화 문의.
  • 처방전 소지 시 조제 가능, 복약지도는 약사에게 요청.
  • 긴급·응급 상황은 응급실 우선, 경증·약 처방은 심야약국 이용 권장.

🔵 최신 핫 뉴스

  1. 올해 2곳 추가…울산 공공 심야약국 여전히 광역자치단체 중 적은 편(울산매일 2025. 7. 3.) — 기사 보기
  2. 올해부터 공공 심야약국 4곳으로 확대 운영(KBS뉴스 2025. 1. 1.) — 기사 보기

🟡 FAQ (주요 질문)

Q1. 공공 심야약국 운영비는 누가 내나요?
A: 기존엔 지자체·약사회 협력으로 운영했으나 2024~2025년 약사법 개정으로 국비 지원 근거가 마련되어 일부 국비 지원이 적용됩니다.

Q2. 동·북구 등 일부 구에 약국이 없으면?
A: 지자체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추가 공모·홍보·인센티브 제공을 검토합니다(울산시 사례 참조).

Q3. 법적 근거는?
A: 공공 심야약국 지정·운영 관련 지침 및 약사법 개정 조항이 근거가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