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시 공공 심야약국 현황과 운영 기준, 이용 방법 총정리(2025년 최신)


서울시 공공 심야약국의 운영 방법, 운영 기준과 지정 방식 등

자치구별 38개소 지정, 밤 10시~새벽 1시 운영 기준, 신청·지정 절차 요약

서울시에는 약사법에 근거하여 38곳의 공공 심야약국이 상시 운영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 2025년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 서울 공공 심야약국의 신청·지정 절차, 운영 기준과 현황까지 정리했습니다.

🟡 1. 핵심 요약

서울시는 25개 자치구 38곳을 공공 심야약국으로 지정·운영, 매일 밤 10시~새벽 1시 의약품 구매 가능. 요청 시 지정, 운영시간 조례로 유연 조정, 요건 미달 시 지정 취소 가능.

🔵 2. 운영 기준 & 지정 절차
  • 약사법 제21조의3에 따라 시·도지사 또는 시장·구청장 지정, 약국 개설자가 신청해야 함.
  • 운영시간은 보건복지부령 기준(예: 오후 8시~새벽 1시 중 최소 3시간 이상), 조례로 조정 가능.
  • 지정 후 미운영, 예산 부당 사용 시 지정 취소 및 지원금 환수, 지정 취소 후 1년 간 재지정 불가.


🟢 3. 서울시 지정 현황

2025년 기준 총 38곳 지정
▶ 365일 운영: 27곳
▶ 요일별 운영: 11곳(월·금 등 특정 요일)

구분 내용
지정 수25개 자치구·38개소
운영 시간매일 밤 10시~새벽 1시
365일 운영27곳
요일별 운영11곳

🔥 4. 최신 핫 뉴스
❓ 5. FAQ

Q. 평일만 운영되는 곳도 있나요?
→ 네, 11곳은 월·수·금 등 요일별로 운영되며, 자치구별 1곳 이상 매일 운영이 되도록 조정되었습니다.

Q. 지정 약국은 어떻게 신청하나요?
→ 약사법에 따라 약국 개설자가 시·도지사 또는 구청장에게 신청, 보건소 심사 후 지정됩니다.

📋 6. 관련 법령

※ 본 글은 2025-09-06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